아기가 태어나면 양육자와의 관계를 통해 경험한 것이 밑바탕이 되어, 그 후 타인을 만나 관계를 맺으면서 본인의 첫 경험을 거울로 상대를 보게 됩니다.
즉, 태어나서 주로 지내는 양육자와 관계의 경험이 일생동안 반복되고, 재현됩니다.
따라서 대상관계 이론은 생애 최초의 양육자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봅니다.
먼저 대상관계 이론이 발달하게 된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정신분석학의 주요 이론 중 하나인 대상관계 이론은 영국에서 발생하여, 영국 정신분석학회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습니다.
대상 관계 이론의 대상은 상대방을 의미합니다. 나와 관계를 맺고 있는 상대방과의 관계에 초점을 둡니다. 대상관계 이론은 프로이트가 제안했는데, 이후 멜라니 클라인, 윌리엄 페어베언 등여러 학자에 의해 구체적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대상관계이론의 핵심은 현재 맺고 있는 모든 인간관계는 과거의 인간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것입니다. 어린 유년시절에 경험했던 대상관계가성장하면서 맺는 모든 대인관계에영향을 주고,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때, 한 사람에 대한 인식과 판단이 내재화되어 그 후, 모든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고정관념이자 선입견과 비슷합니다.
대상관계 이론은 아이 교육, 아이 양육 분야에서 많이 회자되고 있습니다. 대상관계 이론의 다양한 학자들이 말했던 것처럼 아이가 평생 살아가면서 맺을 인간관계는 어렸을 때, 주양육자와의 상호작용으로 비슷한 맥락의 관계를 맺게 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주 양육자와의 관계가 갑을의 관계라면, 그 아이는 자라서도 본인도 모르게 타인과의 관계에서 갑을 관계를 맺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대상관계 이론은 양육자와의 따뜻한 관계를 통해 본인과 타인의 차이점을 이해하게 됩니다. 아이들은 태어나서 엄마(주양육자)와 본인을 구별하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엄마의 감정을 고스란히 받아들이게 됩니다. 하지만 생후 6개월 정도가 되면, 본인과 주양육자는 별개의 인격체로 독립됨을 깨닫게 됩니다.
또한 주양육자와 함께 모든 것을 하고 싶으면서도, 동시에 독립적인 행동을 하고 싶어 합니다. 이 과정은 자연스러우면서 성장하는 과정 중 하나입니다.
아이가 양육자와 지내면서 거절도 당하고, 허락도 받는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양육자에 대한 이미지를 마음속에
만들게 됩니다.
이는 내적 대상(Internal objects) 이라고 합니다. 아이의 마음에 본인이 생각하는 상대방의 이미지를 만들고,자라나면서 많은 사람의 이미지를 만드는 연습을 하며, 일반화하게 됩니다.
대상관계 입문과 학자의 말에 의하면 아이의 경험이 성장하면서 모든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만 3세까지의
양육자와 아이의 관계는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커가며 대인관계를 맺고 행동함에 있어 양육자와의 관계로부터 비롯한 미래를 갖게 되니 신경 써서 아이와의 정성스러운 관계를 맺어야 합니다.
대상관계 이론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건강하지 못한 관계를 만들게 된다면 이는 초기 아동기에 양육자와 관계에서
부터 비롯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심리학적으로 문제가 생기면 대상관계 이론에서 비롯한 잘못된 점이 어른이 되거나 성장하는 과정 중에 잘못 나타나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이를 간단하게 성격장애의 몇 가지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라고도 부를 만큼 흔하면서도, 적절한 시기에 치유하지 않으면 큰 고통으로 다가옵니다. 대상관계 이론에서는 양육자와의 불안한 관계로 인해서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영아기에 온전히 양육자와 충분한 교감을 잘하지 못했거나 양육자의 거부와 냉담함이 아이를 우을 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타인을 쉽게 신뢰하지 못하고, 본인에 대한 좌절감이 늘어나면서 무력하게 클 확률이 높아집니다. 아기가 태어나고 자라면서 양육자와 단단하고 애틋한 관계를 맺지 못하면 성장과정에서 큰 애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요즘 많은 부모님이 아이와의 관계를 제대로 맺기 위해 공부도 하고, 실제로 노력도 하지만 이는 쉽지 않습니다. 서로 기분이 있고, 감정이 있지만 어른이기 때문에 쉽사리 아이의 기분과 감정을 무시하고, 나의 것을 강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람 대 사람으로 바라보며 존중하며 인격체로 봐주는 연습을 통해 서로 독립적인 관계로 상황을 이해하고, 따뜻한 마음으로 바라봐주어야 합니다.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의 괴리감을 줄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아이를 키우는 것만큼 어려운 것이 없습니다.
많은 양육자님! 고생 많습니다. 힘내세요!
심리학 6 : 인간관계론 (0) | 2021.04.23 |
---|---|
심리학 5 : 연애잘하는법 (0) | 2021.04.22 |
심리학 4 : 친구사귀는 법 (0) | 2021.04.22 |
심리학 3 : 연애잘하는법 (0) | 2021.04.21 |
심리학 2 : 공부자극 (0) | 2021.04.21 |
댓글 영역